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성서로 세상 읽기] 자연은 생태 영성의 교과서

우리가 매일 밟고 살아가는 흙 아래에는 온갖 생물들이 하나의 작은 우주를 이루어 살아가고 있다. 2005년 ‘사이언스(Science)’에 발표된 바로는 불모의 땅이든, 기름진 땅이든, 흙 1g에는 100만 종의 세균이 산다고 한다.   한 큰 술도 안 되는 흙에 세균이 100만 종이나 살고 있다는 사실이 그저 경이롭기만 하다. 이들 생물들은 인간이 버린 오물, 썩어 가는 식물, 죽은 동물을 분해하여 흙을 만들고, 흙을 뒤섞고 폭신하게 하고 흙에 물과 공기를 유통하는 수많은 통로를 만들어 기름지게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생산적이고도 역동적인 자연 환경을 만들어 준다.     이렇듯 땅속 생물들은 조화와 협력을 통해 지구 생태계에서 생명의 텃밭을 가꾸는데, 우리 인간은 죽음과 파괴의 묵정밭만 늘려나가고 있다.   성경의 지혜자는 자연 세계를 관찰하면서 깨달은 생태적 영성을 다음과 같이 전한다. “땅에 작고도 가장 지혜로운 것 넷이 있나니 곧 힘이 없는 종류로되 먹을 것을 여름에 준비하는 개미와, 약한 종류로되 집을 바위 사이에 짓는 사반과, 임금이 없으되 다 떼를 지어 나아가는 메뚜기와, 손에 잡힐 만하여도 왕궁에 있는 도마뱀이니라”(잠 30:24-28).     흙을 기반으로 살아가는, 작지만 지혜로운 네 생물(개미, 사반, 메뚜기, 도마뱀)을 찬양하는 지혜자가 흙 속 미생물들의 존재도 알고 있었더라면 그들에게서도 지혜를 배우라고 권면 하였을 터이다. 자신을 둘러싼 생명체들을 한낱 미물로 여기기보다는 지혜를 배울 수 있는 대상으로 인식하는 지혜자의 생태적 시각이 그저 놀라울 따름이다.   다코타(Dakota)족 인디언의 인사말은 ‘미타쿠예 오야신’이다. ‘모든 것이 하나로 연결돼 있다’ 혹은 ‘모두가 나의 친척이다’라는 뜻의 이 짧은 구절은 아메리카 인디언들의 생태적 정신과 소박한 삶의 방식을 가장 선명하게 보여준다.     아메리카 인디언들은 모든 인연에는 배움의 기회가 있다고 믿었다. 세상은 거대한 도서관이며, 그곳의 책들은 돌들과 나뭇잎들, 풀들, 시내들, 그리고 대지의 성난 태풍과 부드러운 축복을 공유하는 새들과 동물들이다. 우리가 해야할 일이란 단지 자연 속에서 배우는 것뿐이며, 그 아름다움을 느끼는 것뿐이다.   예수님은 들녘에 이름없이 피어난 풀을 보시면서 인간의 작은 믿음을 질타하셨다. “오늘 있다가 내일 아궁이에 던져지는 들풀도 하나님이 이렇게 입히시거든 하물며 너희일까 보냐 믿음이 작은 자들아”(마 6:30).     인간의 손길이 닿지 않고 돌보아 주는 이 없는 듯 자라나는 풀이 지닌 강인한 생명력의 원천은 하나님의 돌봄이다. 하나님은 들에 핀 백합화만 돌보시지 않으신다. 그 옆에 난 들풀도 하나님이 보호하시는 대상이다. 주변에 들풀이 없다면 백합도 장미도 존재할 수 없다. 인간이 정한 미추(美醜)의 기준이나 경중(輕重)의 잣대로 자연을 대하지 말라는 것이다.   내일 아궁이에 던져지는 들풀이나 70~80년 후에 무덤으로 던져지는 인생의 운명은 길고 짧음의 차이일 뿐 이 땅에서 누릴 생명의 유한성에서는 일반이다.     한낱 미물도 생명적 관계 안에서 살아간다. 쇠비름, 쇠뜨기, 민들레, 명아주, 토끼풀, 망초, 냉이, 바랭이, 벼룩나물, 여뀌, 엉겅퀴 등. 오랜 옛날부터 가난한 서민들의 민간약재로 사용된 들풀들의 이름이다.   이들은 우리들의 의사요 선생이다. 들풀이 지닌 생명의 원천은 창조주의 돌봄 안에 놓여 있는 그 ‘자연스런’ 생명력에 있다. 그 자연스런 생명력은 하나님의 돌봄을 통해 유지되기에, 하나님이 우리에게 요청하시는 믿음은 자연을 닮은 믿음이다.   이것이 풀 한 포기에서 우리가 배워야 할 생태영성적 교훈이다.   미국의 사상가이자 시인인 랄프 왈도 에머슨(Ralph Waldo Emerson)은 “자연은 인간의 학교”라는 말을 남겼다. 물질적인 풍요함 속에서 정신적 공황을 경험하는 이들이 점점 늘어나는 것은 자연이라는 큰 학교를 멀리한 당연한 결과가 아니겠는가. 이상명 / 캘리포니아 프레스티지 대학교 총장성서로 세상 읽기 자연 생태 생태적 영성 생태 영성 들풀도 하나님

2025-02-11

[성서로 세상 읽기] '아나크리노'<'조사하다'는 뜻의 헬라어>가 필요한 시대

데이터와 지식의 과잉은 정보화 사회의 특징 가운데 하나다. 정보의 양은 폭증하고 업데이트의 속도는 가속화한다. 정보 과잉은 정보 피로 증후군이나 정보 강박 욕구를 가져온다.     정보 홍수와 과부하는 아이러니하게도 선택적 정보 접속으로 이어져 지적 지평은 외려 축소되고 사회적 소통은 갈수록 메말라진다. 수많은 정보에 노출된 결과, 결정 장애에 시달린다. 거대담론은 사라지고 미시적 소담론이 우리의 일상을 지배한다. 사회 관계망은 계속해서 확대되지만 그 깊이는 얕아진다. 정보 과잉 시대에 무수한 청맹과니, 무지렁이, 어정잡이(겉모양만 꾸미고 실속이 없는 사람)가 양산된다.     17세기 독일 철학자이자 수학자 라이프니츠는 “책이 쏟아져 나오는 양이 끔찍할 정도로 늘어나면 결국 야만의 시대로 되돌아가는 결과가 될 것”이라고 우려한 바 있다. 그가 되살아나 현시대를 바라보게 된다면 무슨 말을 했을지 자못 궁금하다.   사회에 유포되는 다양한 형태의 허위정보는 정보전염병(infodemic)이 되어 혼란과 위기를 증폭하고 갈등과 반목을 조장한다.  정보전염병은 ‘확증 편향(confirmation bias)’과 짝하여 우리의 의식과 영성을 지배하고 나아가 타인과 세상을 바로 보지 못하게 한다.     확증 편향이란 자신의 견해가 옳다는 것을 확인시켜주는 증거는 적극적으로 수용하나 자신의 견해를 반박하는 증거는 거부하거나 무시하는 경향성을 이름이다. 보고 싶은 것만 보고, 듣고 싶은 것만 듣는 심리인 셈이다. 영국 심리학자 피터 웨이슨이 1960년대 처음 정립한 심리 현상이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수많은 정치인, 관료, 기업인, 그리고 군중들이 확증편향의 오류에 빠져 돌이킬 수 없는 실수와 과오를 저질러 왔다. 확증 편향에 빠진 사람은 믿고 싶은 것만 믿으려는 선택적 사고의 늪에서 헤어나지 못한다.     확증 편향이 조장되거나 확산할 경우, 사회적 증오를 넘어 집단 광기의 형태로 발현되기도 한다. 냉철하고 합리적인 독일인들도 히틀러와 괴벨스의 선전선동에 넘어가 집단 광기에 빠져 유대인 대학살을 자행하였고 2차 세계대전의 광풍을 일으켰다.     “분노와 증오가 대중을 열광시키는 가장 강력한 원동력이다.” 하이델베르크대에서 독일문헌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히틀러의 입을 자처한 희대의 프로파간다 괴벨스의 섬뜩한 말이다. 확증 편향은 자신이 이미 지닌 확신을 보장해주고 강화시켜 줄 수 있는 사실만을 수용하고 그렇지 않은 것은 배제한다. 나아가 자기 확신을 합리화시켜 줄 수 있는 방향으로 수정하거나 왜곡하여 받아들인다. 확신을 공유하는 사람들끼리 한방에 모여 떠드는 과정에서 그러한 공유 신념은 한층 공고해지고 확실해져 불변의 진리로 등극한다. 그 방에서 나와 다른 목소리를 들어야 한다는 사실에 어떤 사람은 불편하거나 두려워하거나 분노한다.     각자가 속한 방은 하나의 작은 세계다. 그러나 극복되어야 할 세계다. “이념은 저항에 굴복하지 않는 광신자, 저항을 염두에 두지 않는 광신자를 필요로 한다”는 말로 독일 신학자 본회퍼는 지나친 자기 확신의 위험을 경고했다.   참된 신앙은 자기 확신의 부재, 자기를 의심하고 자기를 믿지 못하는 자의 믿음이다. 20세기의 대표적 신학자 폴 틸리히는 “신앙은 의심을 제거함으로서가 아니라 그것을 자기 안에 있는 하나의 요소로 받아들임으로써 그것을 정복하는 용기다”라고 주장한다.  균형 잡힌 신앙은 반성적 사고와 통전적 영성에 기대어 자란다. 자신이 잘못 가고 있지 않은지 의심하는 사람이 반성한다. 잘못 갈 가능성을 염두에 둔 사람에게만 반성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확증 편향에 사로잡힌 사람은 자기 반추 대신 자기와 다른 쪽으로 가는 사람들을 비난하거나 증오한다.   사도행전에는 베뢰아 사람들의 신앙에 대해 칭찬하는 내용이 나온다. “베뢰아에 있는 사람들은 데살로니가에 있는 사람들보다 더 너그러워서 간절한 마음으로 말씀을 받고 이것이 그러한가 하여 날마다 성경을 상고하므로”(행 17:11).     여기서 ‘상고하다’에 해당하는 헬라어 단어는 ‘아나크리노’인데, 그 뜻은 ‘조사하다’이다. 베뢰아 사람들이 바울로부터 들은 복음이 과연 그러한가 하여 날마다 성경을 신중하고 정확하게 조사했다는 뜻이다.     자신이 서 있는 믿음의 토대를 스스로 ‘상고’하는 태도, 즉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태도를 칭찬한 것이다. 성경을 상고하는 과정에서 오해와 곡해를 걸러내어 정해해야 하는 것은 결국 우리의 몫이다.   맹신이나 확증 편향은 쉽게 자기도취와 자기해체로 이어지고 맹목적, 광신적 신앙으로 흐르기 쉽다. 확증 편향을 선동하기 위해 종교적 명분을 앞세우거나 종교로 위장된 우리 시대의 허위 정보와 사특한 이념을 경계해야 한다.  이상명 / 캘리포니아 프레스티지 대학교 총장성서로 세상 읽기 헬라어 조사 정보화 사회 확증 편향 정보 과잉

2025-01-07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